[5]
S2하늘사랑S2 | 00:47 | 조회 396 |오늘의유머
[1]
마음청소 | 00:28 | 조회 388 |오늘의유머
[1]
계룡산곰돌이 | 00:20 | 조회 746 |오늘의유머
[0]
투데이올데이 | 00:17 | 조회 3328 |오늘의유머
[1]
엉클샘 | 00:07 | 조회 2014 |오늘의유머
[5]
우가가 | 25/04/04 | 조회 842 |오늘의유머
[5]
이불속으로 | 25/04/04 | 조회 1876 |오늘의유머
[2]
염소엄마 | 25/04/04 | 조회 422 |오늘의유머
[5]
20대흔한김씨 | 25/04/04 | 조회 566 |오늘의유머
[0]
아유사태 | 25/04/04 | 조회 385 |오늘의유머
[1]
시원한똥줄기 | 25/04/04 | 조회 221 |오늘의유머
[10]
REDRRR빨간달걀 | 25/04/04 | 조회 734 |오늘의유머
[14]
NeoGenius | 25/04/04 | 조회 225 |오늘의유머
[6]
Vladimiro | 25/04/04 | 조회 516 |오늘의유머
[3]
라이온맨킹 | 25/04/04 | 조회 3410 |오늘의유머
조리개 활짝 열고 장노출 주는거네요. 15초면 삼각대 필요하네요.
iso1600 = 노이즈 적은 좋은 바디 f2.8 = 밝은 렌즈 밝은, 좋은 = 비싼
뭐야 진짜야?
올~
시골집이 있었을 때, 맨눈으로 본 적이 있었죠. 압도하는 크기
강원도 산골 살때는 여름 겨울 와하면서 봤는데 지금은 안보임
MOVE_HUMORBEST/1771371
별 일주사진 찍을 때, 조리개를 F8정도 놓고, 1분~30분 정도 찍었던것 같은데요. 30분정도 찍으면 점으로 찍히지 않고 일주사진이 찍히더라구요. F2.8은 생각하지 못했네요,.
그러니까 은하수 사진은 인터넷에 검색하란 얘기죠??
30분 찍으실때는 적도의를 사용하시면 ㅎㅎ
아니요, 광공해 때문에 촬영위치에 따른 결과물 차이 넘사벽입니다.
중학생 때 강원도 계곡으로 놀러간 적이 있는데 그때 산봉우리 사이를 가로지르는 은하수를 본 것이 지금까지 살면서 본 최고의 은하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