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바닷바람 | 13:17 | 조회 0 |루리웹
[4]
쿠르스와로 | 13:12 | 조회 0 |루리웹
[7]
라_퓌셀 | 13:16 | 조회 0 |루리웹
[13]
아니메점원 | 11:58 | 조회 0 |루리웹
[14]
십미터로빈후드 | 13:12 | 조회 0 |루리웹
[15]
없으면포기한다 | 13:08 | 조회 0 |루리웹
[11]
흐르는 별 | 13:04 | 조회 0 |루리웹
[12]
루리웹-7696264539 | 12:39 | 조회 0 |루리웹
[9]
와씨그건좀 | 13:09 | 조회 0 |루리웹
[39]
빡빡이아저씨 | 13:09 | 조회 0 |루리웹
[34]
stuckybam | 13:10 | 조회 0 |루리웹
[4]
내아내는9S | 13:07 | 조회 0 |루리웹
[5]
빡빡이아저씨 | 13:07 | 조회 0 |루리웹
[3]
냥념통탉 | 13:06 | 조회 0 |루리웹
[7]
lRAGEl | 10:03 | 조회 0 |루리웹
소비기한은 우리가 생각한것보다 존~~나게 김
일단 해당 제품은 보관만 잘하면 3개월 정도는 무난하다는 걸 확인했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다고 바로 상하는게 아닙니다. 밀봉 제품은 1년 까지 둬도 문제 없습니다.
전 어묵이 빨리 상하는 식품으로 알고 있었는데 제조 즉시 밀폐하고 밀봉이랑 보관만 철저하면 어묵도 꽤 오래 보관이 가능한 거군요.
이런 즉석 음식은 재난이나 전쟁에 대비해서도 만들기 때문에 사용기한이 비교적 깁니다.
아하~ 근데 왜 이렇게 소비기한을 짧게 잡고 기재해 뒀을까요? 편차를 고려한 때문인건지...
그렇게 생각하면 짧은 기간내에 처리 못해서 버리는 식품들이 어마어마할텐데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통에 가까워지는 제품들을 기한 넘기기 전에 조금 싸게 풀어서라도 판매를 하는 편이 좋을 것 같은데 말아죠. 기업 이윤 추구라는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그렇게 할 필요가 없는게 어쩌면 당연한 것 같기도 하구요. ㅎ
유통기한: 시중에 팔 수 있는 기한
소비기한: 먹을 수 있는 기한
보통 짧게는 유통기한의 0.5배, 길게는 2배ㄷㄷㄷ
제가 정확히는 모르지만 올해부터 유통기한이 아닌 소비기한으로 표시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강제인지 권장인지 잘 모름;)
보니까 이 제품도 저게 '소비기한'이거든요. ㄷㄷ
그래도 라면은 유통기한 지난 건 별로더라구요...
일단 봉지만 뜯어봐도.. 퀘~한 냄새가 남....
어잌후.. 라면은 유통 지난건 차치하고 유통에 가까워 오기만 해도 그렇더라구요. 그래서 많이 사도 최대 두달 내 소비 가능한 양만 사는게 생활화 돼 있습니다.
면에서 냄새남~
일단 어묵류는 바로 곰팡이 펴서 1~2주만 지나도(냉장고에 들어있어도) 못먹음.
근데... 저 국물류는 완전밀봉이라 조금 더 지나도 됨.
근데 두달은 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