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222047)  썸네일on   다크모드 on
루리웹-7.. | 25/04/09 12:40 | 추천 13 | 조회 3

[자작유머] 베스트에 있는 게등위 관련해서 오해 있는거 같아서 적어봄 +3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0204880

일단 선요약


1. 모니터링하는 사람이 많은데 기준이 어떻게 같냐?

-> 그거 관리하는게 리서치 회사에서 하는일임. 원래 이런데는 조사원 몇백명씩 굴리고 취합하는게 일임


2. 실적 채우려고 없는 사례 만들어 내는거 아니냐?

-> 모든 겜에 대한 보고서 쓰는거임 부적정한 것만 보고서 쓰는게 아님


3. 최저임금으로 굴리는데 제대로 된 보고서가 나오냐?

-> 이 사람들이 쓰는 보고서라는건 간략한 1~2P짜리 보고서일 가능성이 높고 게임에 익숙한 사람 붙여서 관리함



오전에 베스트에 올라온 글을 보고 댓글이 난리길래 나라장터에서 제안요청서를 찾아봤음


일단 입찰에 참여한 회사들은 꽤 되는데 잡코리아에서 찾아보면

글로벌리서치를 제외하면 대부분 소프트웨어 제작 및 관리회사를 맡는 소규모 회사임.

글로벌리서치는 리서치 회사 중에서는 중견 정도 되는 곳인데 리서치 회사라 조사원 관리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용역을 수주했을거임.

저정도 되는 리서치 회사면 백명 넘는 임시직 조사원이 있고 내부 연구원 갈아서 데이터 퀄리티를 균일하게 맞춤

img/25/04/09/196188265844f67f0.png



제안요청서를 보면 일단 모든 자체등급분류 게임을 다 보긴 보는게 목적임

대작게임만 있는게 아니라 스토어에 올라오는 온갖 복붙겜, 똥겜 등을 생각하면 겜 하나마다 배정된 시간은 많기 어려움

그리고 원래 이런 모니터링이라고 붙은 용역은 대강 다 훑는게 목적이지 규제하려고 꼼꼼히 잡는게 아님

(꼼꼼히 다 잡는게 목적이면 보통 제목이 "~~전수조사"로 붙음

부적정 비율을 정해둔 건 좀 짜치긴 하는데 밑에 협의에 조정될 수 있다고 명시한 거 보면 아마 수탁사가 발주처에 그정도 비율이 안나온다고 징징대면 바꿔줄거로 추측됨



img/25/04/09/196189d89534f67f0.png



인력 체계는 대충 이렇게 되는데


img/25/04/09/196187e87f14f67f0.png

모니터링 인력은 제안요청서 자체에서 경력단절자 및 장애인을 채용하는 것으로 나와 있음

다른 리서치 회사에서 했던 모니터링 업무를 생각하면 이 인력들은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몇십 페이지 짜리 보고서를 만드는게 아니라 

스토어에 올라오는 수많은 똥겜들을 슥 훑어보고 스샷 첨부해서 한글로 1~2페이지 정도 되는 체크리스트에 체크하는 일로 추측됨

그러니 최저임금 주고 굴리는 거


img/25/04/09/196187fc42f4f67f0.png



(이 부분은 어디까지나 글쓴이 경험에 기반한 예상이므로 실제 보고서 항목은 다를 수 있음)



실제로 우리가 아는 보고서라고 부를 만한 거를 만드는 인력은 매니저가 하는 것으로 보임

이 사람들은 일 8시간 상주 근무하고 모니터링 및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으로 뽑아야 한다는 조건이 걸려 있음

그런거 치고는 월 228만원이 말이 되냐고? 원래 리서치쪽이 월급이 존나짜서 저정도면 보통임... 

  


그래서 오전 베스트 글에 있는 논란은 좀 오해가 있다고 생각함

그보다는 모니터링 인력을 경단자 및 장애인으로 굳이 뽑아야 한다고 명시한게 문제가 있어 보이고(전업 조사원 아니면 관리가 힘듦...)

아마 수주사 담당자와 매니저는 모니터링단 관리가 너무 힘들어서 탈모가 오지 않을까.... 싶음


[신고하기]

댓글(0)

이전글 목록 다음글

1 2 3 4 5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