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172309)  썸네일on   다크모드 on
댓글집중.. | 25/03/27 15:03 | 추천 1 | 조회 1468

경북 안동이 어떤 동네라면요.-긴글주의- +258 [15]

SLR클럽 원문링크 https://m.slrclub.com/v/hot_article/1335206

이런 고장은 개병신동네로 만들어버림


경북 안동은 독립운동의 성지로 알려져 있으며,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지역입니다. 2021년 8월 기준으로 안동 출신 독립유공자는 383명에 이르며,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아래는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 중 일부의 명단과 그들의 업적입니다:

정덕필(1909년~미상): 1907년 류시영 의진에 가담하여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대구지방재판소에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박영수(1897년~미상): 1920년 흠치교 8인조에 가입하여 독립자금을 모집하였고, 안동실업단, 안동청년연맹 등에서 활동하였습니다.

김진휘(1898년~미상), 김석이(1895년~미상), 노말수(1887년~미상), 임석현(1896~1971년), 김종부(1893년~미상): 이들은 3·1운동에 참여한 공로로 서훈을 받았습니다.

이주섭(1901~1977년), 이출이(1888년~미상), 류연태(1884~1957년), 이중창(1882~1959년), 문소원(1896~1934년), 김창락(1889년~미상): 이분들도 3·1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2021년 3월에는 다음과 같은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들이 서훈을 받았습니다:

이필(1909년~?): 1930년 안동청년동맹 예안지부와 서울청년회 경성중앙청년동맹에 참여하였으며, 1931년 안동코뮤니스트그룹을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형을 받았습니다.

김성애(1907년~?): 1929년 안동청년동맹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933년 안동 코뮤니스트 그룹 산하 적색노동조합 여자부에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습니다.

권목용(1909년~1950년): 1929년 일본 오사카에서 재일본조선청년동맹 오사카지부원으로 활동하며 인쇄물을 출판하고, 1930년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관서구역국 오사카조직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받았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들이 나라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였습니다. 경북독립운동기념관 등 관련 기관에서는 이들의 업적을 기리고, 후손들에게 그 정신을 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씨발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국가가 어려울때 가장먼저 맨앖
에서 봉기한

대한민국을 버티는 힘이되어준 민족 고장이 이꼬라지 난거임!

정치인 개놈들 때문에


[신고하기]

댓글(15)

이전글 목록 다음글

1 23 4 5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