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205703)  썸네일on   다크모드 on
군사지식.. | 17/08/14 23:19 | 추천 21 | 조회 1921

북한군의 특공부대 종류 알아보기 +519 [14]

보배드림 원문링크 https://m.bobaedream.co.kr/board/bbs_view/best/130714


북한군의 특공부대 종류 알아보기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북한군이 운용중인 특공부대 종류에 관한

설명과 함께 전력과 위험성에 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본 글에서 설명해드리는 특공부대는 특전사와 같은 특수전부대가

아닌 해병대같은 기동대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해석 주의바랍니다.


[ PC 버전으로 보시는게 더욱 가독성이 좋습니다 ]



경보병


병력: 최소 6개여단 / 20,000명 이상



국내에서는 흔히들 이 부대를 경보병 여단 으로 알고계신 경우가 많은데

사실 경보병 여단은 군단 직할에 배속된 경보병 부대를 뜻하기에 다양한

충격군을 단일 편제에 담아 운용하는 북한에선 근시안적인 명칭입니다.


북한은 사단급에도 경보병 대대급이 따로 편제되어 있다고 알려져있고,

다른 특공부대와 연합하거나 섞은 편제도 같이 운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단일 경보병 여단의 경우 5개의 경보병 대대를 예하에 두며 지원을

위한 1개 이상의 박격포 소대를 배속한다고 알려져 있고, 군단급 부대에

직할로 편제하여 전시상황에 상급부대 명령에 맞춰 임무를 수행합니다.


구형 예비군복과 유사한 덕헌터 위장복 은 이 부대의 상징인데 80년대

부터 식별교란과 은밀 침투를 위해 경보병을 중심으로 보급하였습니다.


이 부대는 북한 3대 특공부대로 콜 싸인은 "번개" 라고 합니다.



부대의 명칭답게 가볍게 무장한다는 뜻의 경 (輕) 보병 으로써 영어

로는 Light Infantry 라고 부르며, 국내에는 보병사단 수색대나 군단

특공대와 유사한 개념의 임무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보통 비무장지대는 종단거리가 매우 짧아 육로침투도 매우 원할하기에

병사 1인당 10Kg 이내의 가벼운 무장을 시켜 작전시간을 크게 제한한

대신 빠른 기동력과 충격전술로 전선을 돌파하는 선견침투를 맡습니다.


이는 산악지대가 즐비하고 병력의 수가 많아 전선에서 밀고 밀리는 형식

의 싸움에는 신속성에 한계가 있고, 또한 지형자체가 재래식 병기의 한계

점이 뚜렷해 빠르게 진격할 수 있는 돌파구를 열어줄 보조적인 비정규세력

으로써 창설한 것인데, 김일성 조차도 6.25때 경보병 연대만 몇 개 더 많이

있었다면 부산도 금방 점령했을거라 언급했을 정도 입니다.


덕분에 현재 경보병들은 주로 전연군단 (1,2,4,5) 을 중심으로 편제

되어 전시상태에서 전선을 확보한뒤 후방부대와 신속하게 충격공세

역할을 하도록 매우 비대하게 짜여진 것이 특징입니다.



단점은 뻔히 아시다시피, 간단한 배낭에 적은 전투식량과 수류탄

그리고 의무킷등을 들고 총 한자루에 탄창 몇개로 가볍게 무장을

한다는건 그 만큼 부대의 작전시간과 화력이 크게 떨어지는데,


이런 류의 부대는 보통 작전시간이 1일을 넘지 못하고 거리도 육로

침투 기준으로 30Km 정도밖에 되지 않는데다 경무장을 하고 있어

중장비를 동원한 대대적인 수색에 매우 약한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탄창 몇개만 들고다니고 지속보급 없이 침투작전을 가장하면

최대한 특정목표만 타격하고 다시 복귀하거나 본대를 유도해야만

지속 작전이 가능한데, 만약 일반적인 교전에 휘말리게 될 경우엔

자체적인 화력과 보급품으론 하루도 버티기 어렵습니다.


전형적인 소련식 충격군의 단점이 보이는데 안 그래도 북한군 지휘

본부는 한미연합군이 개전초기 최대한 빨리 쓸어버리는 것을 목표

로 하고 있어 이 부대가 침투하더라도 지휘부가 쓸려나가고 후방의

본대들이 유류/보급 문제로 공세가 늦어질 확률이 매우높아


결국 고립되어 각개격파 당할 가능성이 농후한 부대이며, 소련마저

이런 공세군은 뛰어난 기계화 물량과 전선에 최대한 보급을 해주며

화력까지 챙기는 방법으로 타협을 봤는데 북한의 지휘체계 현실을

보면 자체적인 역량으론 한미를 상대로 그게 가능할리가 없습니다.



다만 충성심이 높고 어디까지나 전연군단 뿐만 아니라 중부와 후방

군단에도 전선유지와 침투 및 돌파를 수행하는 경보병 부대들이 꽤

많이 산재하고 있기 때문에 아군 진격시간을 크게 늦출 수 있고,


소규모로 전방지역에 침투할 경우 색출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적

노력을 쏟아야하기에 여전히 위협적입니다. 참고로 북한에서 20만

특수부대라 불리는 애들은 절대다수가 이런 충격군들 입니다.



해상육전대


병력: 최소 2개 여단규모 이상 추정



잘 알려지지 않은 부대지만, 해군소속의 육전대로 서해와 동해 각 해군

또는 함대사령부의 직할로 배치되었다는 말도 있으나 자세한 편제등은

현재까지 거의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 부대에 대응하는 한국군 부대는 당연히 해병대 이며, 둘다 해군 소속

또는 해군의 상륙지원에 크게 상호협력하는 상륙부대들 인건 같습니다.


주로 공기부양정과 상륙정 기지들이 즐비한 황해도에 가면 거의 한국으로

치면 인천과 포항에서 해병대 찾기 만큼 쉬울 정도로 즐비한다고 하는데,


일반 해군 수병의 3배 가량의 훈련을 받고 정확한 시간은 알 수 없지만

15km 이상의 전투수영 훈련을 계절에 관계없이 받고, 격술과 태권도등

전투 무술도 상당히 중요하게 다루기 때문에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다만 북한은 육군도 상륙작전에 투입하기도 하며, 경보병과 다른 특임

부대들도 함께 편제해 쌍방작전을 하는 경우가 많아 자세하게 부대의

목적과 식별을 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병력 자체는 서해와 동해에 모두 편제되었을 것으로 보면 최소한 1개

여단급 이상 규모를 가질 것으로 보이며 우리 해병대보단 규모가 좀

작지 않을까 싶습니다.


SDV (극소형 수중침투 잠수정) 을 사용한 유인자폭 공격 및 수중침투

작전을 수행하는 소규모 부대가 이 해상육전대와 저격대에 배치되어

있다는 말이 존재합니다.



국적은 미국 or 한국이면서 윗 동네를 그토록 사모하시는 그 사이트의

그 분들께서는 다른 군대의 해병대보다도 우월하고 특성있다고 하는데,


사실 이 부대의 근간은 기동대나 유격대로써 6.25 전쟁 때 부터 존재한

아주 유서깊은 부대이긴 합니다. 다만 서해에서는 대부분 상륙하려다가

UN군 함대에 의해 추격당해서 수송선째로 바다에 수장당한 경우도 있고,


동해에선 유격대이긴 하지만, 부산 항구시설에 직접 상륙해 후방침투

하려다가 한국 해군에게 하루종일 두들겨맞고 마찬가지로 수송선 포함

600명이 바다에 수장당했던 전적이 있습니다.


참고로, 이 전투가 바로 6.25 전쟁 최초의 승전이자 한국군 최초의 전투함

백두산함 이 세운 대한해협 해전 이었고, 수송선에 탔던 600명은 대부분

제 766 독립보병연대 소속이었는데... 이 부대는 영화 포화 속으로 에서

차승원이 이끌었던 그 766부대가 맞습니다.


그리고 저 766부대는 개전 두달 후인 50년 8월까지 포항전선에서 싸우다

병력이 반띵나는 바람에 제 12사단과 합쳐져서 사라진 유격부대입니다.



항공육전대


병력: 28,000명 이상 추정


[신고하기]

댓글(10)

  • 붕어의질주08/14 답글달기

    1빠 ㅋ

  • 붕어의질주08/14 답글달기

    @군사지식 일단 찜해놓고 정독했습니다. 언제나 알찬 자료 감사드립니다.

  • 아비요오08/14 답글달기

    앗! 읽을때 조회수0에 추천0였는데

    정독하다보니ㅋ

  • 악을행하는자08/14 답글달기

    좋은 글 매번 감사합니다.

  • 우스지용08/15 답글달기

    경보병 때문에...뺑이 친거 생각하면..에효~~~~

  • 샤리2208/15 답글달기

    보배의 보물 이세요^^♡♡♡♡

  • 뭘더원해08/15 답글달기

    늦은밤 잘읽었습니다

  • 헬로PC08/15 답글달기

    글 잘 봤습니다. 군사지식님... 난 쟤네들이 전시에 제대로 움직일 수나 있을지 궁금하더군요. 물론 북괴 자체적으로 볼땐, 나름 일반 장병들처럼 먹고살기 위한 '도둑질' 같은건 안해도 될만큼 우선적으로 입혀주고 먹여준다 하지만 그래봐야 북괴 수준이고...





    우리나라가 좀 짭니다. 짜도 좀 심하게 짜죠...



    육군 : 특전사

    해군 : UDT/SEAL , SSU(여긴 비전투부대)

    공군 : CCT , 레스큐



    딱 이렇게 5개의 부대만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특수부대이지요.



    휴전 상황으로 대치하고있는 남북의 또다른 분쟁을 고려해 그 실체 자체를 인정을 해선 아니되기에 할 수가 없기에 안하는 실질적으로 우리나라 최상위의 부대인 '정보사' 조차도 특수부대 목록에 없습니다.





    북한의 뻥카성 십수만에 특작부대! 실상 별볼일 없어요.



    우리나라 기준으로 특공여단, 특공연대, 헌병특임대, 군단정찰대, 수색대대, 수색중대, 사단정찰대, 해병수색대, 해병대 그리고 각 사단에서 나름대로 한 저격한다하는 저격수들까지 갖다 붙일 수 있다 싶은건 죄다 포함해서 부풀려진 북한의 허세성 특작부대 숫자. 허나 우리나라에선 그딴거 없음. 우리에겐 특수부대 아님.



    ※ 위 목록에 특수부대가 아닌 부대라고 언급된 부대가 허접한 부대란 얘기는 아닙니다. 오해가 없기를...





    내 장담을 하는데 북괴의 특작부대 애들에게 무기만 없으면 우리의 민방위 대원에게도 그냥 생포될 껄~

  • MIRAGE2108/15 답글달기

    우리나라 기계화 부대 및 정찰대에게 필요한 정찰장비는 이 차라고 봅니다.



    예전 같은 위력정찰 외에도 은밀하게 소리없이 움직이는 이런 차량으로 정찰대의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될거 같습니다.

  • 예원사랑08/15 답글달기

    부대인원만 많다고 임무수행이 가능힐까요???전쟁에서 모든부대의 작전은 처음도 보급이요 끝도 보급인대!!



    보급이 되지 않는 부대는 있으나 마나한 부대겠죠....이라크의 공화국수비대도 100만 전투병이 있었지만



    제대로 보급을 못받다보니 폐잔병수준으로 전투력 저하를 가져왔죠....

12 3 4 5
    
제목 내용